1
“주위가 조용해진다. 순간 공간은 평면으로 변하고 시간은 멎는다.
새로운 그림에 담길 장면을 만난다.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만 같은 순간과 조우할 때, 세상은 조용해진다. 그 순간과 나만이 남았다. 조용함을 듣는 시간이다.
여린 안료가 겹겹이 쌓이고, 물맛이 느껴지는 찰나들을 가만히 듣는다.”
느리게 반복되는 붓질을 통해 부유하는 생각들을 정리한다. 동양화의 아교포수 과정을 거친 광목은 세밀한 묘사에 적합한 바탕재이며 그 위에 그려지는 노동집약적 작품 활동은 긴 작업시간과 함께 사유의 시간을 동반한다.
드라마적 환상을 나타내지만 존재하지 않는 유토피아. 그리고 일종의 현실화된 유토피아적 장소를 나타내는 헤테로토피아가 있다.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나만의 은밀한 장소인 헤테로토피아는 나의 작업에서 조용한 풍경들과 비어있는 집으로 나타난다. 마음속에 빈터를 만들어 집을 짓고 바다를 채우고 식물을 그려 넣는다. 사실적으로 그려졌지만 현실이 아니며 이 공간에는 아무도 살지 않는다.
오롯이 혼자가 되어야 느낄 수 있는 고독과 고요함을 위해 만들어진 풍경이다. 외로움(loneliness), 고립(Isolation) 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 고독(solitude)은 타자가 아닌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온전히 ‘나’로서 존재할 힘이 된다. 가라앉은 기억 속 찰나의 소리와 향기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그림 속 공간은 멀지 않은 곳에, 그림을 보고 있는 관객의 가까이에 있다. 누군가 들어와 자신의 이야기로 채우기를 기다린다. 그렇게 그림 앞에 서는 관객 모두가 주인공이 된다.
"The surroundings grow quiet. In an instant, the space turns flat, and time comes to a halt.
I encounter a scene that will be captured in a new painting.
When I meet a moment that feels as if it will never return, the world falls silent.Only that moment and I remain. It is a time to listen to the quiet. Delicate layers of pigment build up, and I quietly listen to the fleeting moments where I can feel the texture of the water."
Through slow, repetitive brushstrokes, I organize my drifting thoughts. The cotton canvas, pre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process of applying glue, provides an ideal surface for detailed depictions. The labor-intensive nature of this work, coupled with the extended hours it requires, creates a space for deep contemplation.
It depicts a dramatic illusion, a utopia that does not exist. And then, there is the heterotopia, a kind of realized utopian space. This heterotopia, a secret place that no one can invade, appears in my work as quiet landscapes and empty houses. I create an empty space in my mind, where I build houses, fill the sea, and paint plants. Although these scenes are rendered realistically, they are not of this world, and no one lives in these spaces.
This is a landscape created for the solitude and stillness that can only be felt when one is truly alone. Unlike loneliness or isolation, solitude carries a different meaning—one that empowers the self through dialogue with one's inner being, rather than with others. It can evoke the fleeting sounds and scents of submerged memories. The space within the painting is not far away; it is close, near to the viewer. It waits for someone to step in and fill it with their own story. In this way, each viewer who stands before the painting becomes the protagonist.
2
작은 슈퍼 뒤 문을 열면 부엌과 화장실, 그리고 방이 하나 있는 작은 집이 있었다. 그 집 딸은 여섯 살 때 생일 선물로 받은 커다란 공주의 집에도 방이 하나였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이 사는 다른 집들도 이런 모습일 거라 생각했다. 게다가 그 집은 슈퍼까지 있으니 퍽 멋있게 느껴졌다.
어느 날 아빠는 주차장과 방 사이의 벽을 허물고 잠깐의 공사 끝에 주차장을 방으로 만들었다. 이제는 더 큰 하나의 방이 있는 집이 되었다. 아무리 방이 넓어졌대도 결국은 하나의 공간이라 엄마에게 혼나고 나면 숨을 공간이 없어 장롱과 바닥 사이의 작은 틈에 얼굴을 처박고 울던 기억이 있다. 나는 꽤 자주 혼났기 때문에 우는 내 엉덩이를 자주 가족들에게 보여야 했다.
아빠는 대게 슈퍼 카운터에 앉아 아이스크림을 훔치는 동네 아이들을 몇 번이나 놓칠 만큼 깊은 잠을 잤다. 엄마는 남은 회사 일을 처리하거나 부엌 일을 했다. 오빠와 나는 방에서 티비를 보거나 엎드려서 낙서를 했다. 그렇게 집은 가족들이 어떤 얼굴로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한눈에 보이는 공간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을 마칠 무렵 우리는 이사를 왔고, 슈퍼 집의 방만했던 공간이 내게 생겼다. 그리고 더 이상 가족들이 무얼 하고 있는지 한눈에 알 수는 없었다.
그 무렵 나는 도넛 모양의 나무 책상과 휙휙 돌아가는 의자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동그랗게 뚫린 책상의 한가운데에 들어가 얕지만 아주 여러 가지인 취미 활동들을 늘어놓고 싶었다. 그때 내 관심사는 줄에 구슬을 끼워 조잡한 액세서리를 만들거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자르고 붙이는 그런 것들이었다. 보기에는 그럴듯해 보여도 손에 끼우면 따가운 비즈 반지 같은 걸 보여주면 엄마는 벌건 광대를 올리며 웃었고 아빠는 ‘우리 딸은 뭔가 될 거 같다’고 말해줬다. 사실 아빠 말은 신빙성이 없었다. 그는 내가 한 달 남짓한 짧은 기간 동안 발레를 배웠다 치면 김 발레, 글쓰기 학원에 다니면 김 작가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나는 그런 작은 이름들이 좋았다. 반면 거의 연년생인 오빠는 매번 100점짜리 시험지를 들고 와 칭찬을 받았다. 내가 신발주머니에 대충 넣어 온 ‘한자 외우기 왕’ 상장 등으로 받는 칭찬보다 멋져 보였다. 하지만 나는 그 무렵부터 자신을 너무나 잘 알았다. 산만하고 집중력이 부족해 끈기 있게 할 수 있는 일이 몇 없었고, 게다가 생각도 많았다. 아주 오랜 세월동안 만들어진 개미굴처럼 많은 생각의 방을 만들었다. 기억력이 안 좋은 나는 금방 그것들을 까먹을게 분명했고 아까운 마음에 자주 그림으로 남겨뒀다.
상상 속에서 여러 시공간을 헤맨 후 마지막에는 꼭 아무것도 없는 빈터를 떠올렸다. 이내 그곳에 집이 지어지기도 했다. 외딴 바닷가에 홀로 선 집. 타닥타닥 연기를 내는 마음이 물결 소리에 묻히는 곳. 그곳을 화판에 옮겨 그렸다. 강한 색감이나 시원한 붓질도 좋지만 눈에 편안히 닿는 색과 느린 붓질이 주는 잔잔한 여운이 더 마음에 들어왔다.
그림은 언어의 역할도 했다. 친구들에게 내가 겪은 엄청나지만 또 보잘것없는 경험에 대해 얘기할 때는 종이와 볼펜을 챙겼다. 말로도 충분했겠지만 그걸 꼭 그림으로 그려서 친구에게 들이밀었다. 상대가 충분히 이해했다는 듯 끄덕거리면 그제야 만족스럽게 종이를 접어 주머니에 넣었다.
어느 날에는 대화를 나누다가 자연스레 상대의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친구가 먼 산을 보며 이야기하면 나도 어딘가 먼곳 을 봤다. 눈시울이 붉어지는 친구는 안아줬다. 그 후에는 자신의 마음에 대해 잘 알고 자신을 돌보는 그 애들에 대해 생각했다. 자기를 가엽게 여기길 바라며 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말하는 것이 가지는 힘이 얼마나 큰지 궁금했다. 말하고 듣는 것은 우리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깨닫게 했다. 생각으로 한번, 말하면서 또 한 번. 들으면서 다시 한 번. 그림이 한 점 두 점 완성될 때마다 나에 대해 생각하다가 타인에 대해 생각하며 붓을 내려놨다. 나는 이런 마음으로 그림을 그렸다고 이야기해 왔는데, 이제는 다른 이야기들이 궁금했다. 그림 속 풍경을 본 또 다른 이가 들려줄 이야기들이. 하나의 그림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쌓일 수 있을까.
각기 다른 삶에서 나오는 것들이 다정한 겹을 만들어 줄 듯했다. 벽에 그림을 걸고 한 발짝 뒤로 나온다. 팔을 X자로 만들어 스스로를 안으며 생각한다.
When you open the door behind the small convenience store, there was a tiny house with a kitchen, a bathroom, and one room. The daughter of the house thought that other houses where people lived must look like this too, because her big birthday present, a grand princess house, also had just one room. Moreover, the house seemed quite impressive since it had a convenience store.
One day, Dad demolished the wall between the parking lot and the room and, after a brief construction period, turned the parking lot into a room. The house became one with a larger single room. Even though the room had grown, it was still just one space, and after being scolded by Mom, there was no room to breathe, so I remember hiding my face between the wardrobe and the floor and crying. I was often scolded, so my crying bottom was frequently shown to the family.
Dad usually slept so deeply at the convenience store counter that he missed several kids from the neighborhood stealing ice cream. Mom handled leftover office work or did chores in the kitchen. My brother and I watched TV or lay down and doodled in the room. Thus, the house was a space where you could see at a glance what each family member was doing and their expressions.
Around the time I finished first grade, we moved, and I got the room that had only been a part of the convenience store house. I could no longer see at a glance what my family was doing.
At that time, I thought it would be nice to have a donut-shaped wooden desk and a swiveling chair. I wanted to place various shallow hobbies in the round hole in the center of the desk. My interests at the time were things like making crude accessories by stringing beads or drawing, cutting, and pasting on paper. Even though they looked decent, when I showed mom something like a beaded ring that felt prickly on the hand, she would laugh with red cheeks, and Dad would say, ‘Our daughter seems to be something.’ In reality, Dad’s words weren’t very credible. He would call me Kim Ballet if I had learned ballet for a little over a month or Kim Writer if I attended a writing academy. I liked those small names. In contrast, my brother, who was almost a year younger, always came home with 100-point test papers and received praise. It seemed more impressive than the praise I received for awards like ‘Hanja Memorization King’ that I got by cramming into a shoe bag. But I had known myself quite well from then. I was scatterbrained and lacked concentration, with few things I could persistently do, and I had many thoughts. I created many rooms of thoughts like an ant colony formed over many years. Since I had poor memory, I often kept them in drawings to preserve them.
After wandering through various dimensions in my imagination, I would always end up envisioning an empty lot with nothing in it. Eventually, a house would be built there. A house standing alone on a secluded beach. A place where the crackling of the heart is drowned out by the sound of the waves. I painted this on the canvas. Although strong colors and cool brushstrokes were nice, I preferred the calm aftertaste given by colors that were easy on the eyes and slow brushstrokes.
The painting also serv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hen talking to friends about my immense yet trivial experiences, I would bring along paper and a pen. Although words might have sufficed, I always drew it out and presented it to my friends. Only when the other person nodded, indicating they understood, would I satisfactorily fold the paper and put it in my pocket.
One day, while conversing, I naturally became curious about the other person’s story. When a friend talked about distant mountains, I would look at some faraway place as well. I hugged a friend whose eyes were reddening. Afterward, I thought about those who knew their own hearts well and took care of themselves. It was not a story meant to pity oneself. I wondered about the power of speaking. Speaking and listening made us realize what was important to us. Once in thought, once in words, and again in listening.
Every time a painting was completed, I would think about myself, then about others, and set down my brush. I used to say that I painted with this mindset, but now I was curious about other stories. Stories that others might share upon seeing the landscapes in my paintings. How many stories could accumulate in a single painting?
It seemed that things coming from different lives would create a warm layer. I hang the painting on the wall and step back. Making my arms into an X, I embrace myself and think.